Professional view of the new MacBook Pros?


http://huff.to/2g65Hgm

Well, the author is a professional. However he looks to me a professional as a user not as a developer. As a developer, who have worked on Mac, Windows ( and Unix) platform at the same time, I have some words for him and Apple.

The author mentioned optimization with FCP X. Although the new MacBook Pro has Core i5, it beats up Core i7 equipped Windows notebooks. I’ve watched such video on YouTube.

OK. He compared FCP X with Adobe Premiere. Some would say why he didn’t compare an orange with an orange. But he has good reason for comparing FCP X with Premiere.
Most Mac video editors would use FCP X, although I know there are many people who uses other companies’ products. So, if you compare video editing/encoding performance with idea, “How faster is it if video is encoded/edited on Mac and on Windows?”, he has good points. It’s not about “How fast is it if video is edited on Mac and on Windows with a product X”.

Yes. Fortunately, FCP X on the new MacBook Pro with Core i5 was faster. So, there is some room Apple people can breath at this moment at least.

Well, in the early 80’s, there was saying that well written Pascal code is faster than C code.
Yes. It’s true. However, well written C code beats well written Pascal code.

On Mac, there are very good and easy to use frameworks which were optimized to use H/W encoder and functionality aggressively: Accelerator framework, AV Foundation, BLAS, etc.
On Windows, depending on your target, there are also well optimized libraries. BLAS is not only for Mac. Anyway, it is not that Windows version of Adobe Premiere on better Windows machine is slower than FCP X on the new MacBook means the new MacBook Pro is price competitive and performance competitive.

On Windows, there are many ways to optimize such performance in video. ( as well as 3D graphics or whatever field you target your app to. ) There are many different libraries. On Windows, Intel QuickSync  delivers pretty decent quality of video with fast speed. ( I just said decent. The quality was not too impressive. ) NVidia or some other companies provide their own video encoder solution which are fast.

Adobe Premiere probably simply didn’t use it. If those are used, the performance can be different. Also, don’t forget this. The Premiere on Mac.

So, optimization can’t be used generally for justifying MacBook’s competitive positioning.
There are many S/W programs which are not optimized with such convenient libraries. Each S/W engineers can bring out their own optimization technique with better algorithms. But for normal programming, we don’t do it much. And.. loop expansion, branch prediction.. such compiler side of optimization is done with modern compilers very well.
So, nowadays general application programs are not aggressively optimized. Think about this. There are bunch of people who think Java is pretty fast!
It doesn’t mean that a S/W program without handpicked optimization is bad program.
There are surely poorly written programs. But for the most of applications, I don’t think people think optimization very seriously. Pick one example. Do you think Apple optimize their Note app to increase performance of typing? or anything?
Then does it mean that it’s a bad program? No.

Why do I mention such program? If Apple provide more reasonably priced, and thus competitive machine with higher performance ( speed-wise or battery usage-wise or whatever the machine is focused on. ) those programs would  perform much better with the same money you paid for buying MacBook Pro.

Apple and Apple’s marketing people should not overlook this part.
Yes.. due to optimization FCP X can be faster than Adobe’s on Windows with a better spec.
But the user can use MS Excel to crunch lots of numbers in his definition.
Let’s say he uses his Mac as a kind of server where fast turnaround time is required.
For those, more rationally priced and competitive Mac, whether it’s MacBook Pros or not, will be more persuasive and make people say “Wow!”.

That’s the reason people are disappointed by recent announcement of MacBook Pro.

The fact that optimized FCP X beats blah can’t justify Apple’s pricing and direction.

Big failure starts when one achieved big success.
Before it dooms, I hope that Apple people go back to the mindset during the hard time of Apple in late 90’s and early 2000’s.
Apple doesn’t make their computers for people who seek inexpensive device? Ha…
Price range for electronic devices are going down due to advancement of technology and due to commodity components.


All USB-C device is not a problem? No.
Professional people tend to have higher priced devices in their time : FireWire HDD storage, FireWire 800 devices, Thunderbolt displays, RAID storages etc.
They invested a lot in those. And they are still very usable. Do you think Thunderbolt 2 RAID devices are too old and too slow right after Apple announced USB-C based Thunderbolt 3? No.

Also, there are many devices which requires very-alive-on-Windows ports.
For easier interoperability, it’s better to have the existing ports. Forcing people to buy expensive dongles or docks are not good. Well, there can be people who need to buy those anyway. But don’t corner people into that.


Apple people may rejoice at the recent news, the New MacBook orders is record high, blah blah..
Don’t be hallucinated by that too much Apple. Apple didn’t update MacBook Pro for sometime. Also developers should prepare their S/W programs for the new H/W.
So, initial orders will be by those people. Let’s wait for a several months more and if there are still those steam left.


I heard lots of negative saying about Apple and Mac’s future when I worked for Harris and Panavision. At Panavision, there were lot’s of Apple haters. There were some ‘allied’ companies which sent their people to persuade Panavision people to choose their solution based on Windows saying that Apple is said to give up Mac.
And Apple announced Mac Pro.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  Mac Pro. Mac Pro was too slow to handle the amount of data in movie business according to them, although I don’t agree with that. But you know what? People who are not kin to technology are more attracted by those kind of mentions and there are a lot of professionals thinking such a way.

Apple way vs Nintendo way


‘Switch’ is Nintendo’s next game console http://flip.it/Lzl8tF

I’d like to say 2 things about it.

  1. Design
  2. Nintendo’s view of how a mobile device should be connected to a TV.

Firstly, the design is really awesome. Traditionally Nintendo H/W design was not as sleek as that of Sony. Nintendo targett S younger kids and family with younger kids than Sony’s audience. Probably that was reason their design was like more about toys and looked cheap. However ‘Switch’ is different, very different.

Secondly, people at Nintendo look to consider about shortcomings of playing games on iDevices with help of Apple TV.
Playing games over AirPlay, which send audio and visual data, i.e. the game sound and screen, to a connected TV over WIFI. it was sluggish. Thats said as a reaon Apple put Game apps on Apple TV directly. Then its directly coonected to a TV over HDMI and a user controlls with their 🍎 remote controller or angame controller.
Whether games are played over AirPlay or AppleTV, you need an additional device, AppleTV, which provide basically same feauures you can get by hooking up your Mac or iOS devices to a TV or a big monitor directly. People need to spend extra money for AppleTV, but my personal experience with it was…. why do I need to buy this AppleTV additionally? I can do the same thing with my Mac or iPad. Apple people would have thought the same way. but if they announced a separate device like the dock for Nintendo Switch, people would think of it as a device for iOS devices. so, actual cost of owning iOS devices can be thought as more expensive than the price of iOS devices.
however, it’s 3 potatoes for the breakfast, 4 potatoes for the dinner, 朝三暮四.
if you have a family and need a living room device, AppleTV makes sense. but if you live alone or dont care hooking up iPad or iPhone using a longer HDMI cable, it’s waste of money. However by advertising AppleTV as a separate device which can cooperate with Mac and iDevices, people become to think that its not hidden cost for iDevices or Macs.

Anyway Apple’s way has these.
✔️ AirPlay ➡️ slow
✔️ hook up iDevices directly wit tv with HDMI ➡️ ok but you may need long HDMI cable.

However, Nintendo solves the problems this way.
✔️ hook up Nintendo with tv with short cable. Hook up a game controller with the console over wireless signal ➡️ good speed. Logically requires a lot less bandwidth between what you hold and the other side of devices.

Simple but different idea brings big difference. Also because the dock is included in the package and Nintendo Switch is not an iPhone or an iPad, people don’t care even though they are buying a new device, the Switch, additionally.

Apple could introduce such a dock and remote game controller for iDevices.
what if nintendo announces such dock someday…. i dont think they would do if the Switch is very successful and saves the company. but if not, they would say, game console era is gone. it’s mobile phone era for gaming. and.. announce such a dock for iDevices and Android devices…

제품 기획/엔지니어들이 전문가가 아니라 pundit이나 한국식 파워 블로거 수준에 머무를 때 벌어지는 현상


http://m.media.daum.net/m/media/issue/453/newsview/20161015171835145

왠일로 작심하고 쓴 기사로 보인다. 경향신문 전병역 기자. 잘 쓴 기사이기에  앞서 용감한 기사이다. 삼성의 영향권에 경향도 분명 들어가 있을 텐데..

한국에서 IT 전문가, 사실은 그냥 이런 저런 전자기기를 섭렵하는 엔드 유저일 뿐인데 전문가잉양 치장되는 이들이 있다. 이런 이들의 의견 혹은 그런 사고 방식이 팽배해 있을 때 기술의 방향, 어떤 것이 좋은  것인지에 대한 평가등이 왜곡되는 문제가 있다.

그냥 화소수 많이 올라가면 무조건 좋은 양 말하고, 소프트웨어적 고려가 아닌 하드웨어 스펙에만 치중한다.
예를 들어보자. 스마트 폰에 더 높은 화소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장착한다면야 좋기야 하지. 근데 문제는 그런만큼 전력 소모가 많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아무리 스펙이 좋아도, 그 채택은 그 주변 기술의 상태에 보행을 맞추어야 한다. 또한 4K를 지원한다고 해보자. 조그만 화면에서 4K를 지원한다고 그만큼 화면이 좋아 보이는가? 외부 모니터를 연결했을 때, 특히 4K 모니터를 연겨라고 그 모니터로 비디오를 뽑아낼 때는 좋다. 그냥 그러면 되지, 스마트 폰의 화면이 굳이 4K일 필요가 있는가? 그런데 무조건 그들은 좋다고 한다.
심지어 4K 모니터나 TV도 그렇다. 무조건 화소수만 높아진다고 화질이 좋아지는게 아니다. 대개 TV를 보는 거리등을 고려하면, 1080p나 4K나 그렇게 화질이 크게 차이나 보이지 않는다.
물론 여기서 이런 말을 할 사람들이 있는 것으로 안다. “좋아 보이던데?”
그렇다. 근데 그건 대개 화소수가 많아서 좋아보이는 게 아니라, 더 넓은 color gamut,  HDR등으로 인해서 좋아보이는거다.
그런데 pundit들이나 가짜 전문가들은 그런 것을 보질 못한다.

자.. 이제 저 기사를 중심으로 이런 문제를 알아보자.


삼성전자가 애플 아이폰과 기술 경쟁을 높이고 후발 중국 화웨이 등을 견제하기 위해 차별화된 전략으로 사용시간을 늘리려고 큰 배터리를 억지로 집어넣은 격이다. 또 아이폰이 선보이지 못한 방수·방진 기능을 앞세우다 보니 내장형 배터리로 바꾸면서 무리수를 뒀다. “방수·방진 기능을 위해 발열을 밖으로 적절히 빼내지도 못하게 것으로 보인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홍채인식 같은 고용량 애플리케이션까지 적용했다. 일각에서는 갤럭시S7에 비해서도 갤럭시 노트7은 내부 구동칩인 모바일 AP와 배터리 사이 간격이 더 가깝게 붙어 있어 화근을 키웠다고 지적한다. 이렇게 해 임계점을 넘은 결과가 화재·폭발이다.

자.. 저 기사에서도 지적하다시피, 방수.. 좋다. 근데 무조건 방수 기능을 넣을 수는 없는 것이다. 방수를 하면 방열을 위한 환기가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방수 코팅, 연결부위 설계를 해서 방수를 할 수 있다고 무조건 방수 기능을 넣다가는 방열에 실패할 수 있다. 그러므로 그런 전체적인 것을 충분히 고려하고 해법이 나왔을 때, 방수 기능을 넣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저 기사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그렇게 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스펙 종합 선물 세트식 개발의 문제이다.
어떤 기능을 지원한다보다 더 중요한 것은, 그 기능을 어떻게 지원하냐인데, 한국의 ‘스펙 위주’ 제품들은 ‘어떻게’를 간과하고 ‘어떤’에만 집중한다.

자, 이제 한번 완충에 사용 가능한 시간을 보자.
battery_usage_time

iPhone을 제외하곤 거의 3000mAh에 육박한다. 반면 iPhone은 절반이 조금 넘는 1715mAh이다. 근데 사용시간을 보자. 다른 스마트 폰들은 6시간 ~ 11시간 가까이 가는데, iPhone 6S는 8시간이다. 제일 사용시간이 긴 Galaxy S7의 배터리 용량의 절반이 살짝 넘는데, 사용시간은 반이 훨씬 넘는다. 이유가 뭘까?
전력 관리의 효율성? 물론 그것도 있다. 하지만 하드웨어 스펙을 보면 대번에 나오는게 있다. 화소수 등등등… iPhone 6S의 해상도는 1920-by-1080-pixel resolution at 401 ppi라고 애플사 페이지에 나와 있다. 즉 그냥  HD 화면이다. 이 HD는 TV용, 즉 20인치 이상의 화면에서도 좋게 보이라고 만든 스펙이다. 근데, iPhone 화면에서 저정도? 이미 충분하다. pixel density는 20인치 이상에서 뿌려도 좋을 정도인 것을 5.5인치 화면에 뿌리니 당연히 높을 수 밖에 없고, 입방 인치당 401개의 점을 찍을 수 있다.
자, 이제 삼성 갤럭시 S7을 보자. S7는 5.1인치다. iPhone 6S에 비해 살짝 작은데, 해상도는  1440×2560 이다. 자. 4K 해상도는 원래 2K와 마찬가지로 극장용 은막 크기를 위해 만든 건데 ( 그러니 아무리 집에 큰 TV를 사다 놓아도 overspec이다.)  영화용 표준인 DCI 4k 해상도는 4096 x 2160이다. 그리고 TV와 모니터용 표준인 UDH-1은 3840 x 2160이다.
자, S7은 극장의 은막 크기를 위해 나온 4K (이미 2K도)을 거실에 설치하는 TV용으로 쓰는 것도 기술을 아는 사람들은 제조사가 판매를 위해 과도한 사양을 밀어대는 거라고 말하는데, 그것보다도 더 높은 세로 해상도를 가진다.
2K를 볼까? 2K는 DCI 2K (native resolution), DCI 2K (flat cropped), DCI 2K (CinemaScope cropped)라는 세가지가 있는데, 각각 2048 x 1080, 1998 x 1080, 208 x 858이다.

S7의 해상도는 세워 놓았을 때, 즉 폭보다 높이가 높은 상태에서 보여준 것이고, 2K의 해상도는 가로로 긴 해상도이다. 즉 S7의 해상도를 2K처럼 orientation을 해서 보면 2560 x 1440이다. 이러면 보인다. 2K native 보다도 높다. iPhone 6S보다 0.4인치 정도가 작은데도 해상도는 월등히 높다. 이게 휴대폰 화면에서 필요할까? 케이블로 출력을 뽑아내서 TV 화면 (2K이상.. TV 제품으론 1080p HD에서 바로 4K로 뛰었다)에 뿌려 줄 때 비디오를 무난히 처리할 정도의 프로세싱 파워만 있음 되지, 저 작은 화면에서 그 큰 화면용 해상도를 박아 놓을 필요가 있을까?

이건 전력 소모에 치명적이다. 각 픽셀 하나 하나가 전구 하나라고 보면된다.
iPhone의 화면에서도 HD는 사실 개인적으론 고사양이라고 본다. 하지만 디스플레이 업체가 그러게 미니, 애플은 그네들에게 부품을 사서 쓰는 만큼, 그리고 어차피 대부분의 TV  화면이 1080p, 720p 등일테니 소프트웨어 만드는 입장에서도 그냥 HD 화면을 가져다 써도 큰 무리는 없다. 더군다나 다른 폰들에 비해서 반 정도의 용량을 가지는 배터리에서도 충분한 사용시간을 제공하니 말이다.

자… 왜 삼성 폰이 오버스펙인지 보이지 않는가? 저게 과연 화면에서만 있는 문제일까?
OS는? 애플리케이션은? Android는 Java이다. 아무리 native code로 부분적 전환을 하더라도 전력을 더 쓴다. 또한 멀티태스킹은? iOS에선 OS 자체에선 처음부터 멀티 태스킹을 지원했지만, 앱 개발자들에겐 제공하지 않았다. 그 후에  모바일 환경에 맞게 semi multitasking을 지원해왔고, 지금은 full multitasking을 지원한다. 애플은 이렇게 배터리 기술, 소자 기술에 맞추어 OS에서 전력 사용의 효율화를 위한 설계를 했다. 물론 보안에도 도움이 되고. 솔직히 모바일 환경에서 풀 multitasking은 아주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곤 그다지 의미 없어보인다. 뭐 스맛폰에서 FTP 서버나 Web server, Video Streaming Server를 구동할 것도 아니고..

근데 안드로이드에선 ‘개발자의 자유’를 표방하며 그냥 막 제공했다. 모바일에서의 멀티 태스킹의 의미, 그 효용에 대해서 생각도 안하는 개발자들은 (일반인에 비해 이들은 전문가임에도 불구하고) 그냥 환영했다. 좀 생각이 있는 개발자라면 의문을 표했겠지만. (왜 전문가 말이 항상 맞는 건 아닌지 여기서도 보이지 않는가?)

자.. 삼성… 그리고 더 나아가 Android 폰들.. 뭐가 문제인지 보이지 않나?
대개 안드로이드 폰 업체들은 스펙 위주의 생각을 한다. 그게 장사엔 도움이 되니까. 무조건 좋은 거 썼다고 하면 사람들은 좋은가 보다 하니까.

이걸 저 기사에선 이렇게 썼다.

삼성의 실험을 전하면서 트러스티드 리뷰는 중요한 사실을 지적했다. 배터리 용량 문제다. 갤럭시S7 3000mAh, 갤럭시S7 엣지는 3600mAh 비해 아이폰6S 1715mAh 불과하다. 덧붙여 <주간경향>이 용량 기준으로 따져 보니, 갤럭시S7(39551)은 배터리 1mAh 13.18초가 지속된 셈이다. 아이폰6S 17.28초로, 배터리 효율이 31% 높게 계산됐다. 매체는이는 놀랄 일이 아니다. 아이폰은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최적화 덕분에 항상 배터리 크기에 비해 잘 작동해 왔다고 밝혔다. 아이폰이 해상도가 가장 낮은 화면을 가진 것도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아이폰은 배터리나 화면 패널, 반도체 등 주요 부품은 삼성과 같거나 비슷한 걸 쓴다. 비결은 역시 소프트웨어 기술력이다. 최소 전력을 써서 작동케 하는 건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등 스마트폰 설계능력 차이로밖에 설명되기 어렵다.

최대 지속시간, 최고 화면 픽셀….’ 하드웨어 사양(스펙) 끌어올리는 식부터 접근하는 삼성의 태도아이폰발 스마트폰 쓰나미가 밀어닥친 2009년 가을과 크게 달라진 게 없다. 많이 팔아서 최대 스마트폰 업체가 되기는 했으나 수익성에서는 애플에 아직도 크게 밀린다. 올해 2분기 애플의 모바일부문 마진율은 38%이다. 삼성은 17%. 세계 스마트폰 영업이익의 75%는 애플이 차지하고 삼성은 31%를 가져갔다. 마케팅비 외에도 삼성은 부품에 비용을 더 지불해 왔다. IT업체 한 임원은삼성이 너무 급하게 배터리 용량을 늘려 왔다. 내장형으로 바꾸면서 무리수가 됐다. 애플, 소니 등이 배터리 용량 증대에 보수적인 이유는 안전성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저 기사에선 이 외에도 수익성을 언급했다.
소프트웨어를 어떻게 만들어서 사용감을 높이는 것은 물론 기능성을 높이는 것 외에도, 한국식으로 부품 스펙만 놓고 봐도 삼성의 방식은 문제가 된다.

자.. 필요없는 고스펙의 부품을 쓴다고 보자. 당연히 단가가 비싸다. 단가가 비싸서 더 좋은 제품을 만들면 완성품은 더 비싼 가격에 팔아서 이윤이 많이 나야한다. 그리고 그것은 직원들에게 더 안정된, 혹은 더 많은 수입을 보장해야 한다.
하지만 갤럭시를 보자. 갤럭시 S6…나오자마자 얼마 안되 LA의 한인 폰 가게에선 하나 사면 하나 무료는 물론이거니와 공짜폰으로 전락했다. S7도 별 다르지 않다. S7의 가격이 한 $700불 대 (그 이상? 그 이하?) 정도인 것으로 아는데, S7을 사면 $300~500 상당의 TV 를 공짜로 줬다.
이게 뭔 짓인가? 그냥 그대로 팔아도 가격 경쟁때문에 무작정 더 많이 받을 수도 없는데, 그거에 더 나아가 금방 공짜폰에 1+1 폰에, TV를 껴주는 제품이라니. 이렇게 해서 시장 점유율 높인다고 의미 있나? 물론 MS-Windows는 의미가 있었다. 개발자들이 다들 Windows로 개발하게 만드는 효고가 있었다. 하지만 지금 Android가 그런가? 더 장기적으로 가면 좀 달라질 수 있겠고, 이미 많이 달라졌지만, 그래도 여전히 아니다. 그런 상황에서 당장의 이윤을 포기하더라도 시장 점유율을 높이는게 의미가 있을까? 더욱이 OS는 Google이 만든다. 삼성이 아니다. 결국 삼성이 아무리 기를 써도, 결국 Dell이다. 자.. 그럼 저런 폰을 판다는 것은… 그만큼 직원들에게 월급을 안준다는 소리다. 애플은 입사할 때 보니까, 스톡옵션이 그냥 거의 연봉이더라. 삼성은 그런가? PS, PI? 하이고..  코끼리 코에 비스켓.
결국 삼성식의 비지니스 모델은, 자원 낭비, 필요없는 고사양, 심하게 말하자면 직원 노동력 착취라는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삼성은.. 그리고 스펙 위주로 바라보는 이들은 이런 문제를 야기한데 동조한 셈이다.
그걸 그들은 알기나 할까?

Google의 Pixel폰과 삼성


아마 이 기사가 오리지널일거다

http://fortune.com/2016/10/05/google-apple-samsung-phones/

한국 기자가 이 기사를 쓴 바탕이..

http://news.mk.co.kr/newsRead.php?no=696886&year=2016

.. 오리지널 기사에 왜 구글의 픽셀 폰 발표가 애플보다는 삼성이 주 타겟이 될거라고 이유가 잘 나와 있는데.. 나는 좀 다른 이유를 들고 싶다.

1. 구글과 삼성은 동료이자 묘한 긴장관계가 있는 사이였다.

    내가 안드로이드의 소스가 무늬만 오픈소스일 뿐, 실제는 오픈 소스의 정신을 담지 못하는, 오픈 소스 추종자들을 아이폰 쪽에서 분리해 내려는 마케팅용 포석일뿐이라고 생각한 것은, 삼성 전자의 IT 사업부, 즉 셀폰 사업부에 있는 동기를 미국에서 만난 후다.

   삼성에서 뭔가 통신용인가 프레임워크를 만들어서 커밋을 하려고 했는데, 구글에서잠깐했다는 거다. 구글 핸드셋 얼라이언스의 멤버 회사들에게 해도 되는지 물어야 한다는게 변명이었다는 것이다. 뭔 오픈 소스가 그런가? 어느 정도 괜찮다 싶으면, 추가해도 되는 것인데.. 즉 힘이 없는 일반 개발자 (안드로이드 정도 소스에 커밋을 하는 사람들은 대개 회사 소속이다. 한국인으론 삼성전자 핸드폰 사업부 사람들이 꽤 있다.)들을 끌어 들이고 (개발에 도움이 된다기 보다는안드로이드는 개방적이래!’라는 분위기를 만들어내기 위한), 실제론 지네들이 통제권을 갖기 위한.

.

  그래서 삼성도 다른 OS를 생각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근데 한국의 다른 기사에 나온 것처럼(저 링크건 기사 말고) 바다는 이런 흐름 속에서 나온게 아니다. 바다OS는 내가 삼성에 있을 때 이미 있었다. 그걸 일반에게 발표한게 사람들이 알고 있는 그 시점이고.

.

  즉 삼성은 삼성이 넣고 싶어하는 것을 못 넣는 안드로이드와 구글에 좀 심사가 불편했었고.. 구글은 구글 나름대로 그랬다.

.구글 입장에선 삼성의 마케팅이 항상 이런 저런 매체에서 거론되었다. 즉 안드로이드를 사용하는데 삼성의 광고엔 갤럭시 폰이 안드로이드를 사용한다는 말이 없다는 거다. 즉 삼성 폰이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선 제일 많이 팔리는데, 팔리는 만큼 안드로이드의 홍보 효과나 위상 확립이 미미하다는거다.

구글 입장에선 OS 만들어서 삼성 좋은 일 시킨거다.

에이.. 누가 갤럭시에 쓰이는 OS가 안드로이드인걸 몰라 하지만, 그건 오산이다. 의외로 모르는 이들이 많다한다.

또 하나의 문제는 삼성 빼곤 이익이 안남는 다른 제조사들이다. 구글의 개방형 플랫폼을 선택해서 다 잘될 줄 알았더니 삼성외엔 안되는 거다. 거기에 제조사들의 불만이 꽤 있었다 한다. 근데 잘 팔리고 안팔리는 것은 구글의 문제가 아니라 그 제조사들의 문제이지.. 근데 구글입장에선 자기네 진영에 들어온 제조사들이 전반적으로 잘 되어야, 결속력이 강해질텐데 그게 안되니 고민이었다고 한다.

또 다른 문제는 지나치게 삼성에 치우침으로 인한 위험의 증가이다.
이 문제는 요번 갤럭시 7 및 같은 기반의 폰의 화재/폭발로 증명이 되었다.
한 회사에 너무 의존할 경우, 그 회사가 흔들리는 날이 오면, 안드로이드 전체가 위험해진다. 이건 애플도 마찬가지지만 애플은 지네 혼자 하드웨어, OS 다 하니, 망해도 지네 책임이니 별 문제 아니지만, 구글처럼 OS는 구글이, 폰 제조는 다른 회사가 하는 경우에선, 그 제조업체들의 문제로 구글이 타격을 입을 수 있으니 문제가 된다.
요번에 그렇게 많이 팔렸다는 갤럭시 S7, Note 7, Edge 7 등이 다 터졌고 반품이 되었다. 이게 안드로이드의 시장 점유율을 얼마나 정체 시켰을까 생각해 보자. 구글로서는 심각하다.

삼성과 구글은 이런 관계로 얽혀져 있는 거다.

2. 삼성의 위협

  삼성은 바다오 타이젠 OS를 사용하겠다는 말을 간간이 흘렸다. 이건 구글로써는 무서운 이야기다. 물론 다른 업체를 선택해도 그만이지만, 당장 삼성이 파는 안드로이드 기기의 점유율이 곧 구글의 영향력이란 등식하에서 그것에 균열이 잠시라도 간다면대처를 어떻게 해야 할까에 대한 안해도 될 고민을 구글에게 안겨다 준다.
삼성은 앞에서 말한 이유로 탈 구글, 혹은 실제론 탈 구글이 아니더라도우리 편의 안봐주면 재미없어라는 메시지를 보내는 카드로 바다와 타이젠을 이용해 먹는거다. 여기에 더해서 요새 중국 회사들도 비슷한 움직임을 보이는 듯하다. 심지어 삼성의 타이젠을 쓰겠다고 하는데도 있다. 중국입장에선 자체 시장이 엄청 크니, 이걸 왜 미국 회사 좋은 일 시켜?라는 생각을 할 수 밖에 없다. 자체 OS를 쓸 충분한 이유와 시장을 가지고 있다.

이런 것은 구글에는 고민거리이고 해결해야만 하는 지점이다.

3. 구글의 독주

   삼성의 입장에서도 모바일의 핵심인 OS를 구글이 가지고 있다는 것은 고민이다. 뭘하던 끌려갈 수 밖에 없는 것이다.삼성으로선 협박용이건 아니건, 자체 OS라는 탈출구를 생각해야만 한다. 하지만 자체 OS 개발 능력이 있는가? 아시다시피 바다와 타이젠은 리눅스이다. 그걸 가지고 자체 OS 만들었다고 하는 것은 좀 아니라고 본다. 아니면 구글이나 Palm처럼 겉 껍데기라도 완전히 새롭게 만들던가
즉 실력이 아직 모자라다. 하지만 어쩔 수 없다. 만들어야지. 구글 좋은 일만 시킬 수 없지 않나?

이런 것들의 종합으로 구글은 구글대로, 삼성은 삼성대로 다른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었던 것으로 안다.
.. 구글이 자체 휴대폰을 만든다고 하자. 지금까지 Nexus는 대량 판매용이라기 보단 레퍼런스용이었다. 그리고 개발자들의 개발 타겟.
적어도 이렇게 만들면 된다라고 하드웨어 업체한테 말하는 것이자,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에겐 적어도 여기에 맞추면 어느 정도 호환성이 있지 않겠니?라는 것.
근데 이제 직접 구글이레퍼런스 폰이 아닌 판매용 폰을 만든다. 물론 시작은 Verizon 독점이다.
왜 버라이존일까? 미국에서 제일 큰 네트워크를 가진 회사이다.
즉 버라이존을 잡으면 상당한 점유를 하게 되어 있다는 것이다.

🍎 고객들은 애플에 충성도가 높다. 그리고 안드로이드 폰 중에서 완성도가 그래도 높았던게 삼성 폰이라면이번 구글 픽셀 폰의 발표는 어느 회사에게 더 치명타를 입힐까? 더군다나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구글도 삼성 하나에 의존하는게 탐탁치 않게 생각했는데.. 이번 픽셀 폰의 발표.. 진짜 목표엔, 폭발로 위상이 떨어진 삼성의 안드로이드 시장에서의 비중을 낮출 수 있는 카드로 사용하지 않겠나?
구글이 의도했건 의도하지 않았건, 픽셀은 분명히 그런 쪽으로 작용할 것이다.

삼성에게 이건 강한 펀치로 작용할 것이다. 단순히 판매에서 그런게 아니라, 구글의 장기 전략 로드맵에서 그런 수순으로 가는게 옳게 보이니 더 그러하다. 즉 구글이 의도하지 않았더라도, 이건 구글이 삼성에게 날리는 핵펀치다.

GUI : Mac vs. Windows


요샌 Android까지 가세를 했지만, 여전히 MS와 Apple이 OS를 만들 때, 고려하는게 세세하게 차이가 나고 그 세세한 차이가 사용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본다. 종종 이런 것들은 지극히 직관적인 영역이라 누군가 “맥이 왜 더 좋은데?” 하면 그 순간 생각이 안나기도 한다. 하지만 그런 것을 사용하는 순간이 되면 “아! 이거였지!”하는 생각이 든다.
Apple의 제품을 좋아하는 사람들과 Windows나 Android를 좋아하는 사람들의 차이를 보면 그런데 있다. 세세하지만 중요한 차이를 보느냐 보지 못하느냐 하는 것 말이다. 그리고 후자는 물어봤을 때 기억이 안나 대답을 못하면 ‘몰라서 그런다’ 혹은 ‘아무 것도 아닌데 괜히 트집이다’라는 식의 태도를 보인다. 나는 Windows, Mac, Unix를 오랬동안 사용해 온 사람이고 각 플랫폼 위에서 프로그래밍을 해왔다. 지금도 Windows와  Mac에서 동시에 일하고 있다. 그러므로 나는 MS의 설계 방향이나 철학도 이해하고 Apple의 방식도 이해한다. 때론 어떤 게 더 좋다고 말하기 힘들다. 두 회사의 지향점이 다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래도 선호하는 쪽은 있게 마련이다. 나도 사람이기에.

자, 한번 보자.
Mac과 Windows에서 언어 선택을 하는 화면이다.

language-selection-on-mac

Mac에서 언어 선택

windows-language-choice

Windows에서 언어 선택

차이점이 보이는가?
둘다 나는 영어로 GUI가 표시되게 하고 쓴다. 영어로 된 화면이 더 보기 편하고 프로그래머들끼리 소통하기 좋아서이다.
그런데 보자.
Mac에서 현재 영어로 화면이 보여진다. 그런데 설치된 언어를 보면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1. English – English (US)
  2. 한국어 – Korean

반면 Windows에선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1. English (United States)
  2. 한국어

둘 사이에 차이가 보이는가?
문제를 볼 수 있는가? 만약 당신이 이 둘 사이에서 문제를 볼 수 있다면 당신은 UI Experience에 감각이 있는 사람일게다.

Mac에서는 우선 해당 언어의 자체의 표기로 그 언어의 이름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 다음 줄엔 현재 GUI가 그려지는 언어(Primary 언어)로 그 언어가 어떤 것인지를 보여준다.
즉 “한국어 – Korean”에서 알 수 있는 것은 한글로 표현했을 때 한국어가 어떻게 표기되는지 그 이름을 한글로 보여주고, 그 다음 현재 OS의 언어로 그 언어가 어떻게 불리는지를 보여준다. 즉 Korean으로.

반면 Windows에선 해당 언어로만 각 언어의 이름을 보여준다.

혹시 아직 감이 안오는가?
자 여러분이 어떤 개발의 목적상 다른 언어, 즉 당신이 전혀 인지하지 못하는 언어, 예를 들면 스웨덴 어로 GUI를 표시하고 싶다고 하자. 그리고 당신은 현재 영어를 안다. 그리고 당신의 시스템은 영어로 표기되어 있다.
Mac에서는 스웨덴어는 ” <스웨덴 어로 표시한 ‘스웨덴 어’라는 명칭, 즉 Suomi>-Swedish”라는 식으로 표기되지만, Windows에선 “<스웨덴 어로 표시한 ‘스웨덴 어’라는 명칭, 즉 Suomi>”만 표기 된다.
여러분은 스웨덴 말로 스웨덴어를 Suomi라고 하는 것을 모른다. 더욱이 안타까운 것은 사우디어같은 거로 변환하고자 한다면 사우디어를 몰라도 글자 생김새가 아주 다르기 때문에 뭐가 사우디 어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인지 알 수 있지만 라틴 알파벳에 기초한 나라들, 하지만 여러분이 생소한 나라의 것들은 문제가 된다.

즉 맥에선 Suomi – Swedish로 표기가 되어, Suomi를 몰라도 Swedish인 것은 파악이 되서 그걸 선택하면 되겠구나하지만, Windows에선 Suomi가 뭔지 모르니 어떤게 스웨덴 어인지 선택할 수가 없다.

Apple은 현재 사용자가 바꾸려고 하는 언어를 이해 못해도, 현재 표기어는 이해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즉 둘 중의 하나만 이해하고 있으면 어떤 언어로 바꾸면 되는지 파악을 사용자가 할 수 있다.
하지만 MS는 바꾸려고 하는 언어를 이해하고 있다는 가정하에, 바꾸려고 하는 언어로 그 항목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그 언어를 이해하는 경우만 뭘 선택해야 할지 알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낭패에 빠진다.

이게 별일이 아니라고 생각하는가?
실제 이런 일이 비일비재하게 발생한다.
내가 현재 개발하는 프로그램은 11가지의 언어를 지원한다. 한 표현을 다른 언어로 표현할 때, 그 길이가 달라지기 때문에 UI 요소들의 폭을 다르게 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게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종종 그 언어로 시스템 언어를 바꾸고 확인한다.
그런데 그러고 나서 다시 내가 사용하는 언어로 바꾸고자 할 때, 맥에서는 아무런 문제가 없이 되돌릴 수 있지만 윈도우즈에선 그러지 못하다.

우리 사무실에 한문을 이해하는 사람은 나뿐이다.
미국인들이 이 로컬라이즈 문제를 할당 받으면, 이 문제에 봉착해서 나에게 어떤 걸 선택하면 좋냐고 물어 본다.

작은 차이, 하지만 큰 차이를 불러오는 UI적 요소이다.
이 차이를 아는 이들이 Mac의 UI를 만들었고, 그 차이를 모르는 이들이 Windows UI를 만들었다.
이런게 어디 이거 하나 뿐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