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은 어디에 있는가? 경향(트렌드)란 무엇인가?


Steve Jobs의 비디오에서도 볼 수있듯이, Mac OS X에 더 이상 추가할 기능이 없는게 아니다. 문제는 애정이지.

MS에서 PC의 세상은 끝났다, 타블렛의 시대다 했는데, 정작 그 시점에 애플은 Mac OS X를 성공 시켰다. Windows PC들의 시장 장악력은 떨어져갔지만 상대적으로 Mac OS X의 시장 점유율은 올라고, 물론 여전히 윈도우즈가 판치는 세상이지만, 영향력에선 Windows를 압도했다.

그리고 오히려 나중에 태블렛 시장을 석권한 건(현재까지) 애플이다.

즉 문제는 애정이다.

아무리 모바일의 시대라고 해도, 누군가가 PC에 애정을 갖고 훌륭한 아이디어를 구현해 내면, 그리고 그게 매력적이면 다시 PC세상으로 되돌릴 수도 있다.

그런데 재미난 것은 세상은 경향을 따라 간다라며 지난 것은 마치 가치가 없어진듯 말한다.
대부분의 기업가와 개자들은 그렇게 말한다.

하지만 잊어선 안되는 것이 있다.

가치는 만드는 것이지 존재하는게 아니라는 것이다.

그걸 만드는 사람이 기존의 것에 가치가 없다고 생각할때 가치가 없어지는 것이지, 그 자체로 가치가 있고 없는게 아니다.

즉 이 말은 바꿔 말하면, 이미 구닥다리가 된 것에서 누군가 가치를 발견해 내면, 그것은 다시 한번 세상을 혁신으로 이끌게 될 거라는 것이다.

그래서 남이 가진 장점을 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자기가 잘할 수있는게 뭔지를 찾아내는 것이 더 중요한 것이다. 남이 하니 따라가지 말고…

Is H/W technology is the only technology?


A Watch That Sinks Under Its Features

But just throwing a bunch of trees into a pit doesn’t make it a log cabin. And Samsung, sooner or later, will learn that it can’t build a coherent device just by throwing features at it.

The Gear is a human-interface train wreck. All of it. The software design, user guide, English translations and design consistency. (“Be careful not to damage your fingernails when you release the buckle.”)

It’s true that David Pogue has been pro-Apple after Steve Jobs approached him.
However, before that time, he was not too pro-Apple.
Anyway those above two sentences are notable.

The article talks about “technology” which IT pundits or tech journalists in S.Korea miss.

In S.Korea, they usually regard H/W technology as “technology”. Therefore, they usually mention about how fast a CPU is, etc. We call it “spec-gil”
(In S.Korea, they also evaluate their students, i.e. their kids based on spec. specs for products, specs for students/kids. Don’t you see some common ground there? )

However, to make products useful, there are something more than spec. Although there should be some fundamental spec to achieve, just enlisting specs doesn’t make a product useful.

Moreover, nowadays even the slowest and cheapest H/W components tend to go over minimum specs for most use. If things are like this, “spec-gil” is not important.
What is important is for what purpose and why people are to use the products. Based on that they should determine proper specs and provide proper experience.

I think this is the BIG technology. S/W architecture and technology and H/W technology are not “the only technology”.

Apple-style or Jobs-style is about to contemplating for what purpose and how (and also why ) people will use a products on sturdy H/W and S/W technology.
Steve Jobs called that part as “Humanities”.

Of course, folks at Apple and Steve Jobs are also human beings. I mean, they are not perfect. ( and can’t be perfect. ) So, sometimes there are some functionality which feels awkward. However, what is important is, “they do contemplate.”

When you work for companies, if you “contemplate” on those, your manager will think, “Ah.. this guy is not capable enough. Because he doesn’t know how to implement it. so, he is thinking about it for long time.”

At Samsung Electronics and at Harris also.
However, at least at Harris, there was one man who saw that.

When Apple finally added “copy & paste” feature to iOS.
I remember that people made fun of Apple like this.
“MS introduced copy & past right into their OS. Apple took so long time to bring it. How stupid they are. They are not capable of making it.”

It’s not Apple folks who are stupid, but they are.

It’s not that Apple people didn’t know how to implement copy & paste.
Mobile devices are operated with fingers. Sometimes on one hand, people hold something. So, holding a device is not stable.
To make things worse, the part of screen you want to select are hindered by your own fingers. So, you can’t figure out from where to where you are selecting.

If you have used Palm or Windows CE devices, you will know what I mean. Especially for Palm, they used “pens” for interfacing. However, think about it. If they allow “fingers” it’s very difficult to make sure you choose correct or intended range of selection.
Although there are some devices which allowed “finger operation”, it was not easy to use because their interface for copy & paste was based on that of “pen based environment” or “mouse based environment.”

However, Apple people introduced a “magnifier” popped out near your finger. So, you can confirm if you are selecting range correctly. Also, they put a “controller” or a “handle” to make it easy to grab those handles to extend the selection.

Nowadays you will take it for granted. However, it’s not.
It’s like Columbus’s egg.

Technology realized really naturally is like that. After somebody shows it to you, it looks nothing special. You will think, “Even I can make this!”
Then try to bring your own “original idea”.
It’s very difficult.

If you have ever designed something, you will know what I mean.
Things others created look easy. However, if you decided to do it for yourself, then you will realize that it’s difficult.

If one is hard to think and hard to use, then it tends to be easy to implement.
However, one which is easy to use and feels intuitive is either easy to make or hard to make, but! when you tries to think of it at first, it’s strangely difficult most of the time.
But once you make it, it feels like even dogs and cows can make it.

We just need somebody to find the right balance of labor between the watch and its companion device — to figure out what a smartwatch should and shouldn’t be.

Those so-called early adopters and journalists who are paid by electronics/IT device, companies…. and fake experts, who just enlist specs and compare them…

Please open your eyes. And realize for yourselves.

 

Google과 정보 수집, 그리고 거기에 도사린 문제


구글은 기본적으로 data, data mining 그리고 분석을 주 경쟁력으로 삼는 회사다.  당연히 개인 정보 수집도 거기에 들어간다. 단 그 수집된 개인 정보를 막 흘리지 않는다는 믿음(?)은 있지(?)만 그래도 기본은 그렇다.

즉 이 말을 다른 각도에서 살펴 보자면, 구글은 개인의 정보는 물론이고 각종 정보를 수집해서 파악을 해 놓고 있거나 적어도 파악할 수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말이다. 이 관리를 조금이라도 잘못하거나 하면 큰 문제가 생길 수있다.

지금 당장 구글의 privacy 관련 링크에 들어가면 실 내용이 없거나 한정된 것에 대해서만 나와 있고 문의할 수있게 되어 있다. 여기에 심각한 문제가 도사리고 있다고 본다. 현재 구글은 blogspot.com에 대한 관리를 그다지 긴밀하게 하고 있는 것 같지 않다. 그러니 그 헛점을 뚫고 들어와 블로그 URL의 도용아닌 도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본다.

하지만 구글은 impersonation, 즉 해당 구글 계정의 profile 내용이, 그 계정을 소유한 사람이 아닌 영 다른 사람의 것을 그대로 도용한게 아니라면 신고를 할 수있는 페이지가 없다. pishing이나 malware가 깔려서 실제로 무슨 해를 끼치는게 아니고, 도용을 해 놓고 그 용처가 의심스러운 상황에서는, 그런 것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아도 어찌할 수가 없게 해 놓았다.

자기네들이 각종 도용 및 보안에 대한 각종 종류를 다 나열해 놓고 거기에 대해 신고 받는 것도 아니라면, 담당자 및 담당 부서 email 이 있고, 거기에 문의를 할 수있게 한다던가 하는 조치가 있어야 하지 않을까? 하지만 구글은 그런 것에 무척이나 소홀하다.

참 이상한 일이다. 구글 같은 회사야 말로, 보안이 생명이며, 자기네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안전하다란 인상을 주어야지만 비로소 안심하고 사용하는 고객이 생기게 마련이다.

현재까지는 구글의 서비스가 편했고, 다른 사이트들에 비해서 비교적 안전 및 안정적으로 운용되었기 때문에, 사람들이 일단 구글이라면 믿고 사용하는 측면이 꽤 많다고 본다.

하지만 나는 요새, 이런 구글의 기본에 금이 가고 있는 것을 본다. 이제 좀더 많은 사람들이 눈치채게 될 것이다. 프로파일의 관리, URL의 도용, 의심스런 블로그를 만들고 놔두는 이상한 행위…
달이 차면 기우는 법이다. 구글이라고 그 인간사의 기본 원칙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는 없을 것이다. 문제는 사람들이 눈치 채기 전에 해결을 하느냐, 아니면 모르고 방조하다가 언젠가 한번 크게 터질 것이냐.

두고 보자. 이미 구글도 한국의 네이버처럼 검색 결과를 조작하는 것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그렇다면 그 결과를 누가 신뢰할 수있겠는가? 하지만 구글은 아마도 그런 유혹에 많이 노출 되었을 것이다. 정보를 조작함으로써 돈을 벌 수가 있기 때문이다. 아니, 엄밀하게 말하자면 정보를 조작하는 것이 아니라 검색 결과나 그 분석을 조작하는 것이다.
구글은 정보의 힘이 막강하다는 것을 누구보다 잘 알기 때문에, 그 것을 입맛대로 사용하는 것에 대한 유혹도 그 어떤 회사보다도 클 것이란 것이다.

자.. 지금부터 두고 보자. 앞으로 10년. 구글은 또 하나의 마이크로소프트가 되어 있을 것인가.